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효율적인 VOD 자막 작업 후기
안녕하세요. 벌써 두 번째 작업 일기네요 :)
지난번에 재택 프리랜서로서의 근무 방식과, 콘텐츠 자막 작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에 대해 간단히 소개드렸었는데요.
오늘은 그 이후 조금 더 본격적으로 작업에 참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VOD 자막 작업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그리고 어떤 점이 중요한지를 조금 더 꼼꼼히 공유해보려 합니다.
⭐작업 시작까지의 과정⭐
테스트에 합격하고 나면, 웍스파이 플랫폼을 통해 실제 프로젝트가 공지되는데요.
테스트 자체가 녹음된 파일을 기반으로 실제와 같은 작업을 체험하는 방식이라,
단순한 속기 실력 외에도 영상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그리고 싱크와 맞춤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감각이 필요한 일이었습니다.
공지된 작업물은 선착순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분량과 마감일을 확인한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실제 작업 방식⭐
-싱크 분할-
영상 전체를 먼저 쭉 훑으며, 소리의 흐름에 따라 싱크를 나눕니다.
이 단계에서는 의미보다는 타이밍에 집중하며 작업합니다.
-검수 및 내용 수정-
싱크가 끝난 후에는 본격적으로 내용을 들으며 맞춤법, 표현, 문장의 흐름을 정리합니다.
영상에 따라 전문 용어나 빠른 대사들도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재생이 자주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활용-
의미가 애매하거나 낯선 단어가 나올 경우에는 구글 검색,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등을 적극 활용합니다.
특히 뉴스, 강의 등 정보성 콘텐츠의 경우 정확한 표기가 중요하므로,
해당 인물이나 지명, 용어 등을 따로 확인합니다.
헤드셋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작업 시간과 수익⭐
저는 주로 저녁 시간대나 새벽 시간에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1~2시간 정도 투자하며, 여유가 있을 때는 조금 더 긴 시간을 작업하기도 합니다.
작업 급여는 다음 달 초에 정산되어 입금되며, 본인의 작업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간 대비 효율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꾸준히 한다면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느낀 점⭐
VOD 자막 작업은 겉보기엔 단순히 듣고 타이핑하는 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꼼꼼한한 청취력, 문장 구성력, 정확성 등을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일입니다.
시간을 오래 들여야 할 때도 있고, 영상의 난이도에 따라 이해하기 힘든 주제도 있어
어려움을 느낄 때도 있지만 작업을 마쳤을 때의 성취감도 분명하게 존재합니다.
또한 영상 내용을 보고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분야의 정보나 트렌드를 접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는 자막 작업을 일종의 간접 학습으로도 여기고 있습니다.
저처럼 조용한 환경에서 집중하는 일을 좋아하시거나,
혼자 계획 세우고 꾸준히 일하는 데 익숙한 분이라면
VOD 자막 작업이 꽤 잘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더 나은 작업자가 되기 위해 계속 실력을 다듬어 나갈 예정이고,
시작을 고민 중이신 분이 있다면, 제 후기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 이전 글카페 알바에 속기까지? 밤도 새는 VOD 작업자의 하루222025.07.28
- 다음 글Yoonderful한 수사속기사 일기 Episode 53) 후반기 시작도 바쁨바쁨 상태!232025.07.28